지금까지는 항상 DB에서 조회한 데이터를 사용했다. 하지만 캐싱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줄 수 있고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시를 사용하려고 한다. 지금 AWS로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Elastic Cache의 Redis를 처음 도입하고 사용하는 것까지 다뤄보려 한다. 1. Redis 나는 간단하게 '캐싱용 DB'라고 이해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 캐시로 임시로 저장하는 것이다. 메모리로만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저장 및 검색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Redis를 왜 써야 하고, 무슨 이정이 있는지는 참고자료나 다른 블로그를 보는 게 더 좋을 것 같다. 2. 클러스터 생성 AWS 콘솔에서 Elastic Cache에 접속해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