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쭉 MySql을 쓰다가 좀 더 제약이 없는 DB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RDBMS와 NoSql을 섞어 쓰기로 했다.
기존 쓰던 유저 데이터들은 RDBMS로, 로그 관리는 NoSql로 쓰는 걸로.
종류마다 정의나 차이점은 구글링 하면 자료가 많으니 내 식대로 풀어서 이해해보겠다.
*NoSql의 종류
나는 NoSql이라면 MongoDB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이런 브랜드 말고 데이터 저장 방식에도 종류 차이가 있다는 걸 알았다.
2. Wide Column Store, Wide Column Database
4. Graph Database
1. Key - Value Database

- 사진처럼 key와 value 쌍으로 저장한다.
- value에 모든 데이터 타입을 허용한다. boolean, integet부터 list, JSON도 가능.
- 간단한 데이터를 자주 읽고 쓸 때 유용.
2. Document Database

- 위의 key-value 방식에서 value를 문서로 저장하는 방식.
- JSON 형식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듯 하다.
- 여러 테이블을 하나의 Document로 모아볼 수 있다. MySql의 Join 기능처럼.
- 칼럼, 스키마 없음. Document를 추가하면 그게 곧 스키마가 됨.
- 정해진 형식이 없고 중첩 구조의 데이터 사용에 유용.
3. Wide Column Database

- RDBMS 처럼 Cloumn, Row 용어 사용
- 여러 칼럼을 묶은 걸 Cloumn Family라고 부름.
- Document DB 처럼 스키마가 없으므로 원할 때 칼럼 추가 가능.
4. Graph Database

- 그림처럼 직관적인 DB
- 데이터를 노드로 표현하여, 노드 간 관계가 엣지로 연결됨.
1번과 2번이 범용적이고 서로 많이 헷갈리는 DB인듯 하다.
구글링 하다보면 가장 많이 나오고 차이점을 설명하는 글이 많았다.
나도 둘 중 하나를 쓰게 될 것만 같다.
참고
https://blog.voidmainvoid.net/238
NoSQL강의) Document Database 개요 및 설명
Document Database란 Document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 XML, JSON, BSON - 계층적 트리 데이터 ▪ _id : PK, RowID - 사용자가 설정 가능 ▪ Embedded Document - 여러개의 테이블을 하나의 Document..
blog.voidmainvoid.net
[NoSQL 데이터베이스별 특징]
Key-Value, Document 등 NoSQL 데이터베이스별 특성에 따라 우리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일지 고민해보자.
jaemunbro.medium.com
http://www.incodom.kr/NoSQL_DB_%EC%9D%98_%EC%A2%85%EB%A5%98
NoSQL DB 의 종류 - 인코덤, 생물정보 전문위키
# NoSQL DB의 종류
www.incodom.kr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ERROR: Another process with pid ~ is using unix socket file. (0) | 2024.09.30 |
---|---|
[MySQL] Rollback Pointer 기반의 MVCC 이해하기 - 코드 중심으로 (1) | 2024.02.06 |
[MySQL] 전문검색 FullText Search 기능 이용해 검색 구현하기 - AWS RDS innoDB 8.0.28 (0) | 2022.09.14 |
[DynamoDB] 비동기 처리 - 익명함수를 기다리지 않고 return 하는 문제 (0) | 2022.01.21 |
[DynamoDB] DynamoDB의 구성 요소들(key, index) (0) | 2022.01.14 |